이러닝 콘텐츠 표준화 시  고려 사항(특징)  4가지를 쓰시오  .    [4점] 

ㄱ. (                          )

ㄴ. (                          )

ㄷ. (                          )

ㄹ. (                          )

 

[정답 ]
ㄱ. 재사용 가능성
ㄴ. 접근성
ㄷ. 상호운영성
ㄹ. 편의성

 

#이러닝운영관리사 실기 기출문제 1회

 

문제의 원문이 무엇인지 찾기 힘들었는데

한국인터넷정보학회지 10권 2호에 실렸던

표준화를 통한 이러닝 추진 방향 제안 -문헌 연구 중심-
최 미 애* 조 용 상**

에 있는 내용이였습니다.

 

NCS학습모듈에선  찾아지지 않고..(제가 못찾은 것일수도요)

문제로 출제 될만큼 표준적 내용인가 싶기도요. 

북스케치에서 출간된  실기  교재에는 표준화의 목적으로써 편의성( convenience) 대신에 "항구성 (Durability) "이 표기되어 있고

자력에서 출간된 필기 교재에는 표준화의 효과로써 "내구성(Durability)"으로 표기 되어 있어요.

성안당에서 출간된 교재에서는 웹 콘텐츠 접근성 환경 및 웹 표준으로써 콘텐츠의 장점(교육부)과 접근성 지침에 대한 설명들이 나열되어 있어요.

 

"항구성"은 좀처럼 듣지 못했던 단어인데요.

사전을 보면 변하지 않고 오래가는 성질이라 합니다.

항구성

위  표준화를 통한 이러닝 추진 방향 제안  원문에선 "유비쿼터스 학습 환경의 특징(강이철 외, 2007)으로

접근성, 항구성, 즉시성, 상호작용성, 수업활동의 상황장착으로 정의"라 표기되어 있어요.

 

3. 표준의 필요성과 종류
3.1 표준의 필요성
<중략>
학습에서 사용되는 콘텐츠 형식이 개발자 혹은 제작자마다 다르면, 다른 시스템에 콘텐츠를 이식할 때마다 데이터 교환에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할 것이다. 만약 콘텐츠 형식이 표준화 되어 있다면 이처럼 추가적 비용의 발생이 불필요하고 콘텐츠 개발자나 제작자는 콘텐츠의 품질 향상을 위해 힘쓰거나 더 많은 우수한 콘텐츠들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이유로 표준화를 통해 이기종의 시스템 간 정보 교환이 가능할 것이다. 이는 이러닝 산업의 발전과 기술의 향상 나아가 교육 품질의 발전과 향상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필수 사항이다.
이러한 표준화를 통해 콘텐츠의 재사용성(reusability)을 높이고, 다른 시스템간의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이 향상되며 접근의 용이성(accessibility)과 편의성(convenience) 등의 다양한 긍정적 효과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출처: 표준화를 통한 이러닝 추진 방향 제안 -문헌 연구 중심- 28 2009. 6. <27p>

 

 

학습강의: 성안당 e러닝 이러닝운영관리사(최정빈 교수)
참고강의 차시: 6강 chap02.이러닝 콘텐츠 파악_(1)이러닝 콘텐츠 개발 요소 이해
학습교재: 성안당 이러닝운영관리사 필기  
참고페이지: 69p
기억에 의한 복원이므로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 Recent posts